운영체제 특징
0. 운영체제 기능
- 정의 :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
- 자원의 효율적인 스케줄링(프로세서, 기억장치, 주변장치, 파일 관리)
1. 프로세스 (단축키 : Ctrl + Shift + Esc - 작업관리자)
[정의]
-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(실행중인 프로그램)
- 작업(Job) 또는 태스크(Task) 라고 한다.
-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최소 단위의 작업
[ 프로세스 스케줄링 기법 ]
- 프로세스 스케줄링 :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그 사용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정책
1. 비선점 스케줄링 (Non Preemptive) : 비효율적, 비양보
- 프로세스에게 이미 할당된 CPU를 강제로 빼앗을 수 없고, 사용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방법
- 일괄처리(오버헤드 발생 X), 실시간 처리가 안되므로 중요한 작업이 기다리는 경우 발생
- 대표적인 스케줄링 : FIFO, SJF, HRN
-
2. 선점 스케줄링 (양보) : 효율적
- 우선 순위가 높은 다른 프로세스가 할당된 CPU를 강제로 빼앗을 수 있는 방법
- 실시간 처리, 대화식 시분할 처리(오버헤드 발생 O)
- 대표적인 스케쥴링 : RR, SRT
[ 스풀링 (Spooling) ]
다중프로그래밍 환경 하에 용량이 크고 신속한 액세스가 가능한 디스크를 이용하여
각 사용자 프로그램의 출력할 데이터를 직접 프린터로 보내지 않고 디스크에 모아놨다가
나중에 한꺼번에 출력함으로써 프린터장치의 공유 및 프린터 처리 속도를 보완하는 기법
스풀링 | 버퍼링 | |
공통점 | 저속의 입출력장치와 고속의 CPU간의 속도차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나온 방법 | |
차이점 | 보조 기억장치 (디스크) | 주기억장치 |
다중 작업 | 단일 작업 (병행 처리 X) |
[ 버퍼 (Buffer) ]
데이터를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전송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그 데이터를 보관하는 메모리의 영역
2. 기억장치
[기억장치 분류]
- 주기억 장치 (처리용, 속도 빠름)
n 반도체 -> RAM, ROM
n 자기 -> 자기 코어 : 반도체 기억 소자가 범용화되기 이전 주기억장치
- 보조기억장치 (저장용, 용량 큼)
n SASD : 자기 테이프
n DASD : 자기 디스크, 하드 디스크, 자기 드럼, CD-ROM, DVD
- 특수용도 기억장치 -> 캐시 메모리, 가상 메모리, 연관 메모리, 플래시 메모리
l SASD : 순차 접근 저장 매체 : Sequential Access Storage Device
처음부터 순서대로 접근하여 자료가 저장된 위치를 검색하는 메모리
l DASD : 직접 접근 저장 매체 : Direct Access Storage Device
순서를 거치지 않고 자료가 저장된 위치를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메모리
[ 계층구조 ]
고가, 속도↑, 저장 용량↓ 저가, 속도↓, 저장 용량↑ |
레지스터 | 특수 용도 |
연관 메모리 | ||
캐시 메모리 | ||
RAM | 주기억장치 | |
ROM | ||
자기 디스크 | 보조기억장치 | |
자기 테이프 |
l 레지스터(Register) : CPU 속에서 일시적으로 값을 기억하는 임시기억저장소
l 연관 메모리 (Associative Memory)
: 저장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읽어오는 기억장치 (주소 참조 X)
l 캐시 메모리 (Cache Memory)
: CPU속도와 메모리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고속 버퍼 메모리
* 속도 순서
레지스터 -> 연관 메모리 ->캐시 메모리
-> 주기억 장치 (Main Memory) -> 보고기억 장치 (Secondary Memory)
3. 운영체제 분류
* 운영체제 기능적 분류 > 제어 프로그램 (암기 : 감자데이터)
: 검퓨터 전체의 작동 상태 감시, 작업의 순서 지정,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
1, 감시 프로그램 (Supervisor Program)
: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화 시스템 전체의 작동 상태를 감시/감독 하는 프로그램
2. 작업 제어 프로그램 (Job Control Program)
: 어떤 업무를 처리하고 다른 업무로의 이행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준비 및 그 처리 완료를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, 즉, 작업의 연속 처리를 위한 스케줄 및 시스템 자원 할당 등을 담당한다.
3.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(Data Management Program)
: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의 자료 전송, 파일의 조작 및 처리, 입/출력 자료와 프로그램간의 논리적 연결 등,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파일과 데이터를 표준적인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관리
* 운영체제 기능적 분류 > 처리 프로그램
: 제어 프로그램의 지시를 받아 사용자가 요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
1. 서비스 프로그램 (Service Program) : 효율성을 위해 사용빈도가 높은 PG
2. 문제 프로그램 (Problem Program) : 특정 업무 해결을 위해 사용자가 작성한 PG
3. 언어 번역 프로그램 (Language Translator Program) : 어셈블러, 컴파일러, 인터프리터
4. 운영체제 발달 과정
1세대 ) 일괄 처리 시스템 -> 가장 먼저 생겨난 방식 : 유사한 성격의 작업을 모아서 한꺼번에 처리 |
일괄처리 |
2세대 ) 다중 프로그래밍 -> 처리량의 극대화 : 한 대 컴퓨터, 여러 프로그램들 실행 2세대 ) 시분할 시스템 -> 응답시간의 최소화 : 여러 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컴퓨터가 사용자들의 프로그램을 번갈아 가며 처리해 줌으로써 각 사용자가 각자 독립된 컴퓨터를 사용하는 느낌을 주는 시스템 (시간 슬롯 할당) 2세대 ) 다중 처리 : 한 대의 컴퓨터에 중앙처리장치(CPU)가 2개 이상 설치, 여러 프로그램들 실행 2세대 ) 실시간 시스템 : 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하는 방식 (ex. 좌석 예약, 비행기 제어 시스템, 교통제어) |
다중처리 |
3세대 ) 다중 모드 시스템 (=범용 시스템) : 1, 2세대 혼합 시스템 |
다중모드(=범용) |
4세대 ) 분산 처리 시스템 : 지역적으로 분산된 컴퓨터들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 |
분산처리 |
안드로이드 버전의 코드명
1.1 | 프리 푸르 |
1.5 | 컵케이크 |
1.6 | 도넛 |
2.0 / 2.1 | 에클레어 |
2.2 | 프로요 |
3.0 / 3.1 / 3.2 | 진저브레드 |
4.0 | 허니콤 |
4.1 / 4.2 / 4.3 |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|
4.4 | 킷캣 |
5.0 / 5.1 | 롤리팝 |
6.0 / 6.0.1 | 마시멜로 |
7.0 / 7.1 | 누가 |
8.0 / 8.1 | 오레오 |
9 | 파이 |
10 | 퀸스 타르트 |
11 | 레드벨벳 케이크 |
12 / 12L | 스노우 콘 |
13 | 티라미수 |
14 | 업사이드 다운 케이크 |
# 기사퍼스트 권우석 - 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요약
'정보처리 > 실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요약] 네트워크 2. OSI 7 계층 및 프로토콜 (0) | 2023.03.17 |
---|---|
[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요약] 네트워크 1. IP주소, 데이터 포맷 (0) | 2023.03.16 |
[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요약] 운영체제. UNIX (LINUX (0) | 2023.02.24 |
[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요약] 운영체제. Windows (0) | 2023.02.17 |
[정보처리기능사 실기 요약] 운영체제. DOS (0) | 2023.02.16 |
댓글